강좌명 클릭 시 해당 K-MOOC 페이지로 이동
자세히 보기
백영서
연세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
강좌 소개
연동하는 동아시아의 역사 속에서 세계사와 함께 호흡해온 한국의 역사적 흐름을 이해하고, 분쟁과 갈등, 혐오를 넘어 평화와 연대의 동아시아 미래를 구상하고 실천하는 데 기여하는 한반도의 위치와 역할에 대한 성찰을 제안한다.
주차별 주제
1주차: [프롤로그] 연동하는 동아시아와 지구지역적(glocal) 시각/감수성: 우리 일상 언어생활에 녹아든 글로컬 경험
2주차: 연동하는 동아시아의 역사, 그 구조와 행위주체(1):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3주차: 연동하는 동아시아의 역사, 그 구조와 행위주체(2): 청일전쟁과 러일전쟁 및 한국 강제병합
4주차: 연동하는 동아시아의 역사, 그 구조와 행위주체(3): 한국전쟁
5주차: 연동하는 동아시아의 역사, 그 구조와 행위주체(4): 한중수교
6주차: 국경을 횡단하는 문화(1): 청년으로 본 동아시아
7주차: 국경을 횡단하는 문화(2): 음식으로 본 동아시아
8주차: 연동하는 동아시아의 미래사(1)
9주차: 연동하는 동아시아의 미래사(2)
10주차: [에필로그] 지구지역적 시각에서 다시 보는 한국사
강좌 링크
자세히 보기
허준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국제대학 강사
강좌 소개
유교와 불교는 동아시아 각국에서 정치·사회적 기능을 수행했을 뿐 아니라 동아시아 사회의 지적·문화적 기반이기도 하다. 본 강좌는 동아시아의 공통 자산이라 할 수 있는 유교와 불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의 역사적 경험과 그 고유한 특질을 조망한다.
주차별 주제
1주차: 유교: 등장과 발전
2주차: 불교와 동아시아
3주차: 고대 한국 불교
4주차: 고려와 불교문화
5주차: 성리학과 불교의 대립
6주차: 성리학의 정착과 유교 사회
7주차: 조선의 유교정치
8주차: 유교의 전파와 교화
9주차: 유교적 가치의 사회·문화적 의미
10주차: 19세기 이후의 유교와 불교
강좌 링크
자세히 보기
미야지마 히로시
도쿄대/성균관대 명예교수
강좌 소개
동아시아 농업사의 고유한 전개 과정 속에서 한반도 농업사를 검토함으로써 동아시아 농업사와 한반도 농업사, 양자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한편, 지속 가능한 경제와 사회라는 문제에 대해서도 고민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주차별 주제
1주차: 도입(導入): 동아시아 농업사의 중요성
2주차: 동아시아 농업사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
3주차: 중국 화북(華北)의 농업: 아시아 농업의 원류(源流)
4주차: 중국 강남(江南) 논농사의 발전
5주차: 한반도 농업사의 원형(原型)
6주차: 전환점으로서의 조선후기
7주차: 논농사 중심의 일본열도 농업사
8주차: 동아시아의 농서
9주차: 농업과 국가 및 사회
10주차: 근대 이후의 농업사
강좌 링크
자세히 보기
신규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교수
강좌 소개
질병의 역사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인류 사회와 동아시아 문명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각종 감염병의 세계적 유행에 대한 한국 사회의 대응과, 대내외 환경 변화를 동아시아 문명사적 시각에서 확인해 본다.
주차별 주제
1주차: 질병과 문명
2주차: 근대 병원의 계보
3주차: 근대 의학 교육과 면허
4주차: 두창과 근대 국가
5주차: 콜레라와 근대 문명
6주차: 페스트와 제국 의학
7주차: 국가 위생 의료 체제
8주차: 지역 위생 의료 체제
9주차: 식민지 위생 의료 체제
10주차: 현대인과 심리적 감염병
강좌 링크
05 한국사 속의 경계인과 외부인: 서양인과 한국인의 만남
자세히 보기
오상미
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 한국학 조교수
강좌 소개
19세기말부터 20세기 초, 서양과 한국이 처음 마주했던 시점에 한국에 찾아온 서양인과 서양에 간 한국인들에 대해 공부하면서, 한국과 서양과의 관계, 서양인들의 한국 이미지, 서양인과 한국인들의 교류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함께 생각해 본다.
주차별 주제
1주차: 개항기 서양인과 한국인의 만남
2주차: 개항 전 조선과 서양과의 만남
3주차: 한국을 둘러싼 국제정세와 서양인의 역할 (1) 한국에 고용된 서양인들
4주차: 한국을 둘러싼 국제정세와 서양인의 역할 (2) 외교관과 서양인 언론
5주차: 서양인 여행자들과 한국의 이미지 (1) 1880-1890년대의 여행자들
6주차: 서양인 여행자들과 한국의 이미지 (2) 1900년대의 여행자들
7주차: 서양 선교사들의 역할 (1) 병원, 학교, 교회가 생기다
8주차: 서양 선교사들의 역할 (2) 지식과 정치성
9주차: 서양에 간 한국인 (1) 외교사절로 서양을 방문하다
10주차: 서양에 간 한국인 (2) 세계, 서양, 그리고 한국
강좌 링크
자세히 보기
계승범
서강대학교 사학과 교수
강좌 소개
동아시아에서 발발한 임진란과 병자란은 조선과 그 주변 국가들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본 강좌는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맥락 속에서 두 전쟁의 역사적 의미를 논하고 전후 조선 사회에 나타난 정치, 사회, 문화적 변화를 검토한다.
주차별 주제
1주차: 제1부- 16세기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조선
2주차: 제1부-임진란 발발과 초기 전황
3주차: 제1부-임진란: 전세 역전과 소강 상태
4주차: 제1부-임진란: 협상 결렬, 재침, 종전
5주차: 제1부-임진란: 전쟁의 여파와 동아시아 국제질서
6주차: 제2부-17세기 초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조선
7주차: 제2부-정묘호란 The First Manchu Invasion of Korea in 1627
8주차: 제2부-병자호란
9주차: 제2부-남한산성의 고민 -조선왕조의 국가정체성 문제-
10주차: 제2부-호란의 여파와 동아시아 국제질서 재편
강좌 링크
자세히 보기
이세영
아시아평화와역사연구소 연구위원
강좌 소개
한국 현대사는 세계 냉전체제의 형성에 영향을 받으며 전개된 한편으로, 냉전체제의 심화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본 강좌는 한국 현대사의 출발점인 1945년부터 1953년까지 해방 8년사를 검토하여 두 개의 ‘코리아’가 생겨나게 된 원인을 이해하고,한국전쟁 이후 남북한의 이질적 발전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한반도의 평화와 화해의 미래를 위한 전망을 모색한다.
주차별 주제
1주차: 미완의 해방, 분단의 기원
2주차: 해방과 남북 정치세력의 형성
3주차: 미소 양군의 통치와 신국가 수립 문제
4주차: 신국가 수립을 둘러싼 갈등의 격화
5주차: 분단을 막기 위한 최후의 노력
6주차: 미군정기-대한민국 초기의 사회경제적 변화
7주차: 북한의 ‘민주개혁’과 인민민주주의 체제 건설
8주차: 한국전쟁의 형성
9주차: 한국전쟁의 전개와 귀결
10주차: 냉전과 두 개의 ‘코리아’
강좌 링크
자세히 보기
권기하
연세대학교 글로벌한국학연구소 연구교수
강좌 소개
1864년부터 1910년까지의 한국 근대사를 주로 정치사적 관점과 문화사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한국과 세계가 조우한 역사적 현장 속에서 근대 한국인들의 세계관 변화를 확인하는 한편, 한국에서 근대란 무엇이었는지 음미해보는 기회를 갖는다.
주차별 주제
1주차: 1864년 1월 16일 창덕궁 : 흥선대원군의 정치와 정책
2주차: 1876년 2월의 강화도 : 강화도조약 체결의 전과 후
3주차: 1882년 7월 19일의 숭례문 인근, 1884년 12월 4일의 우정총국 :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4주차: 1888년 1월 17일 미국 워싱턴 백악관 : 양절체제
5주차: 1894년 2월 17일, 전라도 고부관아 : 갑오농민전쟁과 청일전쟁
6주차: 1896년 2월 11일 광화문 앞, 1897년 10월 12일 환구단 : 갑오개혁과 광무개혁
7주차: 1898년 10월 29일의 서울 종로 :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
8주차: 1905년 11월 17일 경운궁 : 러일전쟁과 대한제국의 보호국화
9주차: 1907년 2월 21일 대구 서문 밖 : 국채보상운동
10주차: 1910년 8월 29일 서울 : 대한제국의 마지막 순간
강좌 링크
자세히 보기
이화진
연세대학교 글로벌한국학연구소 연구교수
강좌 소개
한국 근현대 대중문화의 역사적 전개 과정을 정치적, 사회적, 역사적 맥락에서 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세계사적 흐름과 한국적 특수성 양측에서 한국 대중문화의 역사와 현재를 이해할 수 있도록 주제에 대한 입체적인 이해와 폭넓은 시야를 제공한다.
주차별 주제
1주차: 한국 대중문화를 역사적으로 접근하기
2주차: 한국 사회의 근대적 전환과 대중의 태동
3주차: 근대 미디어의 도입과 식민 도시의 대중문화
4주차: 제국 일본의 ‘조선 붐’
5주차: 한국전쟁 그리고 전후 남한의 대중문화
6주차: 개발독재시대 대중문화의 빛과 그림자
7주차: ‘겨울공화국’의 일상과 문화 통제
8주차: 통제와 유화, 제5공화국 시기의 문화와 일상
9주차: 세계화 시대 문화 환경의 변화와 소비문화
10주차: ‘K-Culture’와 글로벌 문화 시장
강좌 링크
자세히 보기
신주현
대구대학교 강사
강좌 소개
16~18세기 근세 동아시아에서 그리스도교 수용을 둘러싼 정치적, 사상적 갈등을 이해하고, 한국, 중국, 일본이 공유하는 종교적, 사상적, 문화적 유산을 통해 동아시아의 상호 연결성에 대한 시야를 얻는다.
주차별 주제
1주차: [프롤로그] 1790년 두 개의 북경사행
2주차: 제1부 수용과 변용 (1): 근세 동아시아 정치사상계의 흐름과 그리스도교 수용
3주차: 제1부 수용과 변용 (2): 한문서학서 저술과 확산
4주차: 제1부 수용과 변용 (3): ‘개종’인가 ‘종교융합’인가
5주차: 제2부 잊혀진 역사 (1): 임진왜란과 그리스도교
6주차: 제2부 잊혀진 역사 (2): ‘그림자’ 속에 가려진 사람들
7주차: 제3부 박해의 역사 (1): 초기 그리스도교 박해사건 비교
8주차: 제3부 박해의 역사 (2): 동아시아의 의례논쟁
9주차: [에필로그] 예수회 적응주의의 종언
10주차: [대담] 예수회 적응주의의 재소환
강좌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