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신화와 설화로 보는 한국고대문화의 원형
자세히 보기
박미선
명지대학교 객원교수
강좌 소개
주차별 주제
1주차 : 역사가 시작되다: 단군신화
2주차 : 고대국가가 등장하다 : 삼국의 건국신화
3주차 : 고대 왕, 신이한 능력을 지니다.
4주차 : 외래사상, 불교를 받아들이다
5주차 : 부처의 나라를 만들다
6주차 : 고대인의 사랑과 혼인
7주차 : 부모에 대한 사랑, 효(孝)
8주차 : 충(忠), 고대국가의 성장을 이끌다
9주차 : 삶의 반대편, 죽음
10주차 : 고대 한국의 풍속과 예술
02 가족, 성, 사랑의 역사
자세히 보기
김인호
광운대학교 부교수
강좌 소개
인류의 가장 오래된 조직인 가족의 역사를 한국사 속에서 살펴보고, 결혼, 성, 사랑의 형태와 문화, 법과 제도를 역사적으로 검토한다. 가족의 역사적 변화를 통해 현재의 가족 문제를 이해하고, 가족의 미래를 예측해보도록 한다.
주차별 주제
1주차: 개괄: 가족, 성, 사랑의 역사
2주차: 고대의 가족, 결혼과 성
3주차: 고려시대 왕실과 가족제도
4주차: 조선시대 국왕의 결혼과 성
5주차: 조선시대 신분에 따른 결혼과 이혼
6주차: 조선시대 사랑과 성, 범죄
7주차: 조선시대 가족법과 가족
8주차: 조선시대 상속, 족보, 호적과 가족
9주차: 근대의 결혼, 가족과 가족관의 변화
10주차: 현대의 가족과 결혼의 변화
03 글로벌 한국사 입문: 왕과 왕비의 삶
자세히 보기
소진형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선임연구원
강좌 소개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삶을 살펴봄으로써 왕권 국가인 조선의 제도와 질서에 관하여 기초적 내용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나아가 유교적 왕정국가에서 왕과 왕권의 보편성을 이해하고, 동시에 조선에서 왕과 왕비의 상징성과 그 의미를 특수하고 역사적인 차원에서 파악할 수 있다.
주차별 주제
1주차: 왕이란 무엇인가?
2주차: 성군과 폭군: 정치체에서 요구하는 왕의 자질
3주차: 조선의 건국, 정치이념으로서 유교, 그리고 왕
4주차: 조선 왕의 즉위식과 그 의미
5주차: 조선 왕의 하루 일과
6주차: 조선 왕비의 삶: 왕비의 역할과 의무
7주차: 성리학적 군주의 정치1: 인정과 조세수취
8주차: 성리학적 군주의 정치2: 성리학적 군주와 왕권의 의미
9주차: 왕비의 정치
10주차: [에필로그] 왕과 왕비의 정치
04 조선시대 신분제와 양반
자세히 보기
김성우
대구한의대학교 교수
강좌 소개
조선시대 신분제의 형성과 전개를 심도 있게 살펴본다. 조선시대를 신분제 관점에서 이해하여 정치, 사회, 경제 등 사회 전반의 변화양상을 살펴본다.
주차별 주제
1주차: 조선왕조의 신분제
2주차: 조선 초기 신분제도의 운영
3주차: 국역체제(國役體制)의 붕괴와 양천제(良賤制)의 약화
4주차: 지배층의 사족화(士族化): 1520년대
5주차: 사림파(士林派)의 집권과 성리학적 질서의 확산
6주차: 불안정한 지배층
7주차: 사족층의 공고화
8주차: 사족의 분화와 위계 조정
9주차: 서얼(庶孼) 문제
10주차: 벌열(閥閱)의 출현과 사회 경직화
05 반역자들의 종교 – 심문 기록으로 보는 조선후기 종교사
자세히 보기
한승훈
한국학중앙연구원 조교수
강좌 소개
본 강좌는 조선후기의 반역 사건을 그 심문기록을 중심으로 종교사적, 비교사적 관점에서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반역자들의 현실인식과 지향이 한국의 종교적 언어를 통해 표현된 방식과 그 의미를 파악, 평가하는 한편 당대 저항 정치 및 종교 문화의 특징을 이해한다.
주차별 주제
1주차: 종교사와 심문기록
2주차: 조선후기 변란의 연대기
3주차: 종교적 반역자들
4주차: 예언과 예언서
5주차: 진인출혈설의 형태와 변형들
6주차: 반역자들의 점복과 주술
7주차: 반역자들의 의례
8주차: 국왕에 대한 저주
9주차: 무당과 승려의 반란
10주차: 혁세의 세계관
06 인물로 보는 라이벌 한국사
자세히 보기
김갑동
대전대학교 (前)교수
강좌 소개
한반도 역사의 각 시대별 상황 속에 전개된 다양한 이야기를 인물사 연구의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역사의 중요한 전환점을 만든 인물들의 활약과 사상, 상호간 라이벌 관계에서 벌어지는 선택과 결과, 그리고 후대의 평가를 다룬다.
주차별 주제
1주차: 서론 및 삼국의 대립과 성왕, 진흥왕
2주차: 남북국의 성립과 김춘추, 연개소문
3주차: 남북국의 성립과 김춘추, 연개소문
4주차: 고려의 건국과 왕건, 견훤
5주차: 고려 중기의 사회 상황과 묘청, 김부식
6주차: 고려의 멸망과 최영, 이성계
7주차: 조선 초기 유교 정치와 성삼문, 신숙주
8주차: 임진왜란과 이순신, 원균
9주차: 조선 후기의 붕당정치와 송시열, 윤증
10주차: 쇄국, 개화 정책과 대원군, 명성황후
07 한국 근대 여성 지식인의 삶과 꿈
자세히 보기
장영은
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
강좌 소개
한국 근현대 역사 속에서 교육, 문학, 문화, 예술, 종교, 정치, 외교, 행정, 경제 등 다양한 공적 영역에서 사회적 참여를 확장시켜 온 여성 지식인의 삶을 소개하고, 그들의 성취와 패배, 영광과 좌절의 여정을 살펴본다.
주차별 주제
1주차: 근대 여성 지식인의 도전, 나혜석
2주차: 근대 여성 지식인의 이상, 김일엽
3주차: 근대 여성 지식인의 문학(1), 최정희
4주차: 근대 여성 지식인의 문학(2), 박화성
5주차: 근대 여성 지식인의 이념, 허정숙과 이화림
6주차: 근대 여성 지식인의 암약, 정정화
7주차: 근대 여성 지식인의 교육, 김활란과 고황경
8주차: 근대 여성 지식인의 야망, 박인덕과 임영신
9주차: 근대 여성 지식인의 역사, 최은희
10주차: 근대 여성 지식인의 예술, 천경자
08 구술사로 새롭게 쓰는 한국현대사
자세히 보기
김아람
한림대학교 조교수
강좌 소개
다양한 역사적 주제를 구술사로 조망함으로써, 한국 현대사의 생생한 장면을 체감하고 역사가 과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와 소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술사 연구의 방법론을 익히고, 실제로 연구에 적용할 때 필요한 절차와 유의점을 파악할 수 있다.
주차별 주제
1주차: 구술사란 무엇일까
2주차: 한국 구술사 연구의 흐름
3주차: 제주4·3과 5.18민주화운동
4주차: 분단과 한국전쟁 체험
5주차: 한국전쟁 후 피난과 정착
6주차: 1960~70년대 사회 통제와 인권 침해
7주차: 1980년대 광부들의 사북항쟁과 여성 수용
8주차: 세월호 유가족의 말하기
9주차: 구술 준비 과정
10주차: 구술사 연구 방법론과 총정리
09 시험국민의 탄생
자세히 보기
이경숙
경북대학교 교육학과 강사
강좌 소개
한국 사회에서 시험이 갖는 의미를 탐색하고, 과거부터 현재까지 사회와 개인에게 시험이 미치는 영향을 역사적으로 탐구해본다. 이 강의를 통해 <한국인에게 시험이란?> 질문에 해답을 찾고 대안을 모색한다.
주차별 주제
1주차: 시험국민의 탄생
2주차: 과거시험 1
3주차: 과거시험 2
4주차: 입시전쟁
5주차: 외국어시험
6주차: 시험은 정치다 1
7주차: 시험은 정치다 2
8주차: 시험과 능력주의
9주차: 시험과 세계화
10주차: 시험을 다시 반추하다
10 젠더의 관점으로 한국 근현대사 바라보기
자세히 보기
김지민
CARE 연구원
강좌 소개
젠더 관점에서 한국 근현대사의 주요 사건과 주제를 탐구하며, 19세기 후반부터 현재까지 한국의 주요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변화에 따라 젠더가 한국의 다양한 역사적 사건 및 구조와 교차한 양상, 그리고 이러한 사건과 구조에 대한 여성들의 다층적인 경험에 대하여 학습한다.
주차별 주제
1주차: 개요 – 젠더의 관점으로 한국근현대사 바라보기
2주차: 식민지 조선 사회에서 여성과 가족(1910~30년대)
3주차: 태평양전쟁과 총동원체제 하의 여성들(1930~40년대)
4주차: 일본군 ‘위안부’ - 침묵을 강요당한 피해자(1940년대)
5주차: 한국전쟁과 여성(1940~50년대)
6주차: 한미관계와 미군기지, 그리고 여성(1950~70년대)
7주차: 한국의 근대화와 여성의 정체성, 가족의 의미(1960~70년대)
8주차: 근대화와 여성 노동자(1970~80년대)
9주차: 여성 운동과 ‘위안부’ 운동(1990년대)
10주차: 젠더와 국가, 사회적 변화, 다문화 가족(1990~2000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