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뉴 닫기
 

K학술확산연구소

K-Academic Program

01 K푸드의 탄생 : 20세기 한국 음식의 역사

자세히 보기

주영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

 

강좌 소개

개항 이후 현재까지 한국인의 식탁을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20세기 한국 음식의 역사를 추적하고 그 의미를 알아본다.
전 세계적인 ‘K-Culture’ 열풍 속에서 한국 음식이 갖는 위치를 탐색하면서 K푸드의 탄생 과정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한국인의 식생활(문화)의 변화상을 탐구한다.

 

주차별 주제

1주차 : 프롤로그

2주차 : 개항의 식탁

3주차 : 식민지의 식탁

4주차 : 전쟁의 식탁

5주차 : 냉전의 식탁

6주차 : 압축성장의 식탁

7주차 : 세계화의 식탁

8주차 : 에필로그

 

02 지역사의 이해, 방법으로서의 지역사

자세히 보기

허영란

울산대학교 교수

 

강좌 소개

한국사의 ‘지방사’연구를 넘어 지역사로서 한국사를 조망하고 새로운 지역사연구방법을 통해 중앙과 지역을 하나의 구도 안에서 파악한다.

다양한 지역에서 다양한 경험을 탐구하면서 새로운 지역‘사’를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주차별 주제

1주차 : 역사의 장소와 지역사

2주차 : 새로운 역사학과 지역사의 문화적 전환

3주차 : 지방행정구역과 동질적 지역 문화권

4주차 : 중첩되고 교차하는 미시적 경험, 달리조사

5주차 : 재조선 일본인이 재현하는 지역

6주차 : 지역사회, 억제된 균열과 갈등의 역사

7주차 : 장생포, 포경포와 카메라의 협업

8주차 : 지역사의 확장과 방법으로서의 지역사

 

03 지도와 달력의 역사

자세히 보기

최진묵

연세대학교 중국연구원 연구교수

 

강좌 소개

동아시아에서 지리와 시간의 인식을 지도와 달력의 탄생과 활용을 통해 탐구한다.

고대 중국을 중심으로 발전한 지리와 시간 인식은 동아시아 각 국에 영향을 미쳤다.

지도 제작과 시간(연호, 음력, 농사력 등)의 활용 깊이있게 이해한다.

 

주차별 주제

1주차 : 지도와 달력의 역사

2주차 : 지도의 발전 : 중국의 지도 (1)

3주차 : 지도의 발전 : 중국의 지도 (2)

4주차 : 한국의 고지도

5주차 : 시간과 달력

6주차 : 달력의 구성 요소들

7주차 : 시령(時令), 월령(月令)과 시일금기(時日禁忌)

8주차 : 사회 각 분야별 시간활용

 

04 한국의 도시공간과 주거문화

자세히 보기

이연경

인천대학교 지역인문정보융합연구소 연구원

 

강좌 소개

한국 도시 공간과 주거문화에 대한 통사적 이해를 추구하면서도 현재적 관점에서 한국의 도시적 삶이 만들어진 역사에 대해 탐구한다.

이 강좌를 통해 한국 도시와 건축, 문화가 결합된 ‘한국인의 삶’에 대한 파악한다.

 

주차별 주제

1주차 : 한국의 도시와 한옥

2주차 : 새로운 문물의 유입, 혼종의 도시와 주거

3주차 : 근대도시화와 주택의 변화

4주차 : 근대도시화와 아파트

5주차 : 산업화와 주택 공급

6주차 : 전쟁이 만들어낸 도시와 주거의 변화

7주차 : 도시상업화와 주상겸용주택

8주차 : 적층된 기억의 도시와 주거

 

05 한국 전통시대의 의료, 그리고 생로병사

자세히 보기

이경록

연세대학교 의사학과 연구부교수

 

강좌 소개

이 강좌에서는 의료라는 창(窓)을 통해 한국 전근대 사회에 접근한다.

이를 위해 한국의 의료제도사를 중심축으로 삼으면서 사상, 의료인, 의학지식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한국인들의 생로병사를 탐구.

한국 전근대의 질병과 이에 대한 인식 및 대응 방식들을 통해 의학과 의술이 한국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이해한다.

 

주차별 주제

1주차 : 질병, 의료와 한국 의료사

2주차 : 한국 고대의 의료와 동아시아 의학지식의 형성 사례

3주차 : 고려시대의 의료제도와 대외 의료 교류

4주차 : 조선시대의 의료제도와 성리학

5주차 : 전근대 유행병의 양상과 대응 방법들

6주차 : 조선 사람들의 생로병사

7주차 : 질병에 맞선 한국 중세의 의서들

8주차 : 조선의 약재 증산과 대표적인 의학자들

 

06 한국의 전통건축 한옥

자세히 보기

신치후

국가한옥센터 센터장

 

강좌 소개

한국 전통건축물인 한옥을 통해 한국 건축사를 되짚어 봄.

한옥을 통하여 한국인들의 주거형태와 문화, 공동체 문화, 종교까지 아우르면서 자연친화적인 한국인의 건축양식을 탐구한다.

한옥을 깊게 이해하고 한옥의 변신을 통해 전통시대 한국(인)의 다양한 모습을 확인한다.

 

주차별 주제

1주차 : 한옥이란?

2주차 : 한옥 구조

3주차 : 주거문화와 한옥

4주차 : 한옥마을

5주차 : 불교 건축 1

6주차 : 불교 건축 2

7주차 : 유교 건축

8주차 : 그 외 한옥 건축

 

07 20세기 한국여성노동사: 현실, 저항, 공간

자세히 보기

김미선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학술연구교수

 

강좌 소개

한국 근현대 여성노동의 역사를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이해한다.

20세기 한국 역사의 질곡 속에서 여성노동을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분석.

한국 근현대 정치·경제적 변동 한 가운데 위치되었던 여성을 현실, 저항, 공간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이해하면서 20세기 여성노동의 의미를 되새긴다.

 

주차별 주제

1주차 : 조선 사회의 근대적 변화와 여성의 사회적 진출

2주차 : 일제의 식민통치와 직업여성의 등장

3주차 : 한국전쟁과 여사장의 탄생

4주차 : 하녀와 버스차장 그리고 여공

5주차 : 산업화 시기 여성노동자의 노동운동: 여공에서 여성노동자로

6주차 : 산업화 시기 기혼여성의 비공식노동과 비가시화

7주차 : 1980년대 사무직 여성노동자와 성차별 철폐

8주차 : 1990년대 IMF 경제위기와 변화하는 여성노동

 

08 1960-70년대 서울 도시개발사와 피지배층 생활사

자세히 보기

송은영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

 

강좌 소개

오늘날 한국사회의 근본 구조를 형성했던 1960-70년대 한국사회를 서울이라는 공간을 통해 이해하고 그 역사적 경로를 탐색.

1960-70년대 개발의 시대를 맞이한 서울의 도시 개발과 공간변화를 파악하고,

개발의 어두운 그림자로 남아있던 피지배층의 생활사를 문학작품을 통해 살피면서 그 의미를 파악한다.

 

주차별 주제

1주차 : 1960년대 초중반 서울의 팽창과 서울사람되기의 욕망

2주차 : 1960년대 초중반 서울의 거주지역과 거주지

3주차 : 1966년 이후 서울의 도시개발

4주차 : 1966년~1972년 서울 도심의 재편

5주차 : 1966년~1972년 피지배층의 삶과 주거

6주차 : 1972년~1978년 이후 강남 개발과 부동산 신화

7주차 : 1972년~1978년 중산층의 성장과 아파트 문화

8주차 : 1972년~1978년 서울 도시공간의 위계화와 도시하층민

 

09 현대한국의 형성: 생활문화사

자세히 보기

조은성

서강대학교 교수

 

강좌 소개

한국의 ‘근대’적 생활문화 형성을 역사적 경로를 통해 이해.

기존 정치·경제적관점에서 이해했던 한국 역사를 생활문화적 측면에서

일상생활의 역사를 탐구함으로써 오늘날 한국인의 생활과 문화적 특징의 역사적 연원을 추적한다.

 

주차별 주제

1주차 : ‘근대’적 생활문화의 도입

2주차 : 해방 이후부터 1950~60년대 생활문화

3주차 : 1960~70년대 생활문화

4주차 : 1970년대 생활문화

5주차 : 1980년대 생활문화

6주차 : 1990~2000년대 생활문화

7주차 : 주제로 보는 통시적 문화 변화

8주차 : 북한의 생활문화

 

10 한인 디아스포라(Korean Diaspora) : 민족이산의 역사와 초국가적 민족

자세히 보기

정병호 한양대학교 명예교수

임성숙 충남대학교 초빙교수

이주희 한양대학교 글로벌다문화연구원 연구원

 

강좌 소개

한국인의 민족이산의 역사를 인류학적 관점에서 폭넓게 다룸으로써 초국가적 한민족이라는 개념을 이해.

세계 각 지역에 산재해 있는 한인들의 이주와 정착생활을 살펴봄으로써

분단 구조와 글로벌 시대가 혼효된 한국사회를 진단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 모색한다.

 

주차별 주제

1주차 : 민족이산의 역사와 초국가적 한민족

2주차 : 재미한인

3주차 : 재중한인의 역사

4주차 : 구 소련지역 한인의 이주

5주차 : 일본지역 한인

6주차 : 냉전시기 한인들의 브라질, 독일 이민과 재이주

7주차 : 한인들의 또 다른 이주: 해외입양, 탈북 그리고 탈남

8주차 : 현실과 과제